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환경설정
- Flex Box 기본
- 오산대맛집
- spring
- 자바 스프링
- 이클립스
- 스프링
- HTML5
- java설치
- 타입
- 플랙스박스기본
- 자바스프링
- 관계형데이터베이스
- ubuntu
- 노마드코더
- SQL
- java spring
- Eclipse
- Hooks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SQL 연산자
- SQL 명령어
- Flexbox Froggy
- node.js
- REACT
- numpy
- spring 환경설정
- 람다식
- SQL 문제
- 리액트
Archives
- Today
- Total
이것저것
tsconfig 본문
반응형
SMALL
위의 페이지에서 번역해서 명령어 참조하는게 좋다.
공식문서 handbook 부분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보는게 좋다.
what's new도 1.1부터 쭉 봐보면 typescript를 이해할수있다.(많다;;)
전에 js파일이랑 ts파일을 동시에 열면 에러가 떴었는데
tsconfig.json 파일을 만들어서 옵션을 넣어주면 에러가 안뜨게 할수있다.
라이브러리에 대한 설정파일이다.
lib 옵션에서는 "ES6", "ES2020", "ES2017"등이 있는데 6의 정식명칭은 ES2015이고 2015와 2017은 중요한 애들이다.
include는 어떤 파일을 컴파일 한것인지
exclude는 어떤 파일을 컴파일 하지 않을것인지
extends는 여러개의 ts파일들이 있을때 가져와서 쓰는..?? 아직 잘 모르겠지만 나중에 자세히 알려준다함
tsc -init
해주면 파일 생성해준다.
{
"compilerOptions": {
"noImplicitAny": true,
"noImplicitThis": true,
"noImplicitReturns": true,
"strict": true,
"lib":["ES6", "ES2020", "ES2017"]
},
"include": ["numberBaseball.ts"],
"exclude": ["*.js"],
"extends": ""
}
반응형
LIST
Comments